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2018년 (KBS총파업 후) === * 1월 3일, 강규형 전 이사가 문재인 대통령을 상대로 서울행정법원에 [[https://www.segye.com/newsView/20180103005328|해임처분취소 및 집행정지 소송을 냈다.]] * 1월 4일, 김상근 목사가 보궐이사로 추천되었다. 대통령의 재가는 1월 8일에 났다. 이인호 이사장과 고대영 사장의 해임안이 곧 상정돼서 가결될 가능성이 높다. 길게 보면 1월 안에 KBS 파업은 끝날 가능성이 높다. * 같은 날 방통위는 [[고영주]] 방문진 이사의 해임을 결정했다.[* 이사장 직은 내려왔지만 이사직은 유지중인 상태였다.] 후임자는 지영선 녹색서울시민위원회 위원장을 내정했다. 이에 자유한국당 측은 이효성 방통위원장을 상대로 보궐이사 임명정지 가처분 신청을 서울행정법원에 [[https://www.segye.com/newsView/20180104000889/?UA=PC|냈다.]] * 1월 8일, 고대영 사장 해임안이 이사회에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2835|제출되었다.]] 해임안은 10일에 상정되어 15일에 다룰 예정이었으나 일주일 후인 22일로 미뤄졌다. 그 이유인 즉슨 고대영 사장이 30일까지 연기해달라는 요구를 일부 수용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 한편 고대영 사장 해임안 제출 당일 대전MBC 사장이던 이진숙이 사의를 표명했다. * 1월 11일, [[MBC 블랙리스트 사태]]를 수사해 오던 [[서울서부지방검찰청]] 형사5부(부장검사 김영기)는 김장겸, [[안광한]] 전 사장과 [[권재홍]], 백종문 부사장 등 MBC 전 경영진 4명을 기자·PD의 부당 전보에 개입하고 노조 탈퇴를 종용한 혐의(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위반 등)로 불구속 기소했다. 반면 최기화 전 기획본부장은 무혐의, 박용국 전 미술부장은 기소유예 처분했다.([[https://www.spo.go.kr/site/westseoul/ex/board/View.do|당시 서울서부지검 수사결과]], [[https://www.spo.go.kr/preview/skin/doc.html?fn=190541.pdf&rs=/preview/result/2/attach/2018/|공식 보도자료]],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139324|법률신문 기사]])[* 이후 안광한 외 4명은 2019년 서울서부지법 1심에서 징역 1년 및 집행유예 2년 등이 [[https://www.yna.co.kr/view/AKR20190219118951004|선고됐고]], 2020년 8월 서울고등법원 항소심에서도 [[https://www.news1.kr/articles/?4037782|같은 형량을 유지했지만]] 이들 중 김장겸 전 사장은 대법원에 [[https://www.news1.kr/articles/?4039958|상고까지 했다.]]] 자세한 재판 내역은 '파업 이후' 문단서 후술. * 1월 12일, 서울행정법원은 자한당이 낸 KBS 보궐이사 임명정지 가처분 신청을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27537.html|기각했다.]] * 1월 15일, 서울행정법원은 강규형이 낸 KBS 이사 해임처분 집행정지 신청을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27785.html|기각했다.]][* 다만 해임처분취소소송은 2020년 서울행법에서 승소했고, 이에 문재인 대통령 측이 항소에 상고까지 했으나 2021년 9월 대법원은 최종적으로 강 교수의 [[https://www.chosun.com/national/court_law/2021/09/09/RJ5EOOW5HJD2HIIROQY7DWFEEU/?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손을 들어줬다.]]] * 1월 19일, 심원택 여수MBC 사장이 조직통할 능력 부족, 경영능력 부재 등의 사유로 [[https://news.v.daum.net/v/20180119134944806|해임됐다.]][* 이에 심원택 측은 손해배상 청구소송까지 냈으나 2023년 기준 2심 패소, 이후 상고 상태.[[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8746|#]]] * 1월 22일, '''고대영 사장 해임안이 가결'''되었으며 대통령의 재가는 18시간 뒤에 났다.[[http://www.nocutnews.co.kr/news/4911018|#]] 이에 따라 회사는 조인석 부사장이 사장 직무대행으로 자리를 메웠으며 새노조는 24일 업무에 복귀하여 142일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 한편, 고대영 사장 해임안 의결 당시 건강상의 이유로 해외에 체류하고 있던 이인호 KBS 이사장은 '이제 대한민국의 공영방송인 KBS의 이사장 자리에 있는 것은 이제 무의미하다며 KBS와 MBC는 좌편향될 것'이라는 입장을 내면서 이사장직과 이사직을 전부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3163067|밝혔다.]] * 1월 31일, [[김상근]] 이사가 신임 이사장으로 선임되었다. 반면 고대영 전 사장은 서울행정법원에 해임 효력정지 가처분 및 해임처분 취소 소송을 냈다. * 2월 26일, [[양승동]] KBS PD가 KBS 새 사장후보로 내정되었으며 3월 30일에 열리는 청문회를 통해서 대통령의 재가를 받으면 사장으로 임명된다. * 3월 16일, 서울행정법원은 고대영 전 KBS 사장의 해임 효력정지 가처분을 기각했다.(2018아10316[[https://m.yna.co.kr/view/MYH20180316017600038|#]]) * 3월 29일, 제주MBC는 서울 MBC 본사 임시 주주총회에서 최재혁 사장과 백종문-최기화 이사 해임안을 의결했다. * 4월 6일, [[문재인]] 대통령이 [[양승동]] KBS 사장임명안을 재가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